"핫 컨트리 송스"는 빌보드가 발표하는 컨트리 음악 차트이다. 1944년 주크박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곡을 기준으로 시작하여, 음반 판매량, 라디오 방송 횟수를 종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화해 왔다. 1990년 이후 닐슨 BDS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계되었으며, 2012년에는 디지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데이터가 추가되었다. 차트 집계 방식 변화 이후 테일러 스위프트,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샘 헌트 등의 곡들이 장기간 1위를 기록했다. 조지 스트레이트가 최다 1위 곡을 보유하고 있으며,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이 최다 주간 1위 아티스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빌보드 차트 - 얼터너티브 송 얼터너티브 송은 빌보드가 1988년 9월 10일에 처음 선보인 얼터너티브 음악 차트로, 초기에는 컬리지 록 등과 관련이 깊었으나 너바나 이후 그런지가 주류 음악으로 부상하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가장 많은 1위 곡을 배출했다.
빌보드 차트 - 빌보드 핫 100 빌보드 핫 100은 미국의 음악 잡지 《빌보드》에서 발표하는 싱글 차트로, 판매 데이터, 라디오 에어플레이,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활동을 종합하여 순위를 매기며 대중음악의 인기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미국의 컨트리 음악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기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트리 음악 유물 보관소이자 명예의 전당으로, 다양한 소장품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컨트리 음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경험을 제공한다.
미국의 컨트리 음악 - 그랜드 올 오프리 그랜드 올 오프리는 1925년 내슈빌에서 시작되어 컨트리 음악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상징적인 라디오 프로그램이자 콘서트 시리즈로, 오랜 역사 동안 여러 논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전 세계에 방송되고 있다.
핫 컨트리 송스
차트 정보
국가
미국
장르
컨트리 음악
레코드 차트
빌보드
역사
첫 발행일
1944년 1월 8일
이전 이름
컨트리 & 웨스턴 베스트 셀러 (1944년 - 1958년) 핫 컨트리 싱글 (1958년 - 1990년)
추가 정보
설명
1944년 1월 8일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컨트리 음악 장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차트이다.
2. 역사
빌보드는 1944년 1월 8일부터 컨트리 노래의 인기를 집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크박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곡을 기준으로 "모스트 플레이드 주크 박스 포크 레코드"라는 차트를 발표했다.[49] 1948년부터 1958년까지는 주크박스 차트 외에 음반 판매량과 라디오 방송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차트도 추가되었다.[49] 1957년 6월 주크박스 차트는 폐지되었다.
1958년 10월 20일부터 빌보드는 음반 판매량과 라디오 방송 횟수를 통합한 "핫 C&W 사이드" 차트를 발표했다.[50] 이 차트는 1962년 10월 27일에 "핫 컨트리 싱글스"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990년까지 이 이름으로 유지되었다.[50]
1990년 이후 차트 집계 방식과 이름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 2012년에는 빌보드 핫 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집계 방식을 변경하면서, 컨트리 음악의 정의와 차트 진입 기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1944년 ~ 1958년)
1944년 1월 8일, 빌보드는 "모스트 플레이드 주크 박스 포크 레코드"(Most Played Juke Box Folk Records)라는 이름으로 컨트리 노래 인기 차트를 처음 발표했다.[49] 1948년에는 음반 판매량을 기준으로 하는 "베스트 셀링 리테일 포크 레코드"(Best Selling Retail Folk Records) 차트가, 1949년에는 라디오 방송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컨트리 & 웨스턴 레코드 모스트 플레이드 바이 포크 디스크 자키"(Country & Western Records Most Played By Folk Disk Jockeys) 차트가 추가되었다.[49]
1957년 6월, 주크박스 차트는 폐지되었다.[49]
2. 2. 핫 C&W 사이드 ~ 핫 컨트리 싱글스 (1958년 ~ 1990년)
1958년 10월 20일, 빌보드는 판매량과 라디오 방송 횟수를 통합하여 "핫 C&W 사이드"(Hot C&W Sides)라는 단일 차트를 발표했다.[50] 1962년 10월 27일, 차트 이름이 "핫 컨트리 싱글"(Hot Country Singles)로 변경되었다.[50]
2. 3. 핫 컨트리 싱글스 & 트랙스 ~ 핫 컨트리 송스 (1990년 ~ 현재)
1990년 1월 20일, 핫 컨트리 싱글 차트는 100위에서 75위로 축소되었고, 닐슨 방송 데이터 시스템(Nielsen Broadcast Data Systems)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을 기반으로 집계되기 시작했다.[51] 4주 후인 2월 17일, 차트 제목이 "핫 컨트리 싱글스 & 트랙스"(Hot Country Singles & Tracks)로 변경되었다. 2001년 1월 13일자부터 차트는 75위에서 60위로 축소되었으며, 당시 차트에 있는 모든 곡은 차트에 머문 주 수를 60위 이상으로 집계하도록 조정되었다.[52] 2005년 4월 30일부터 차트 이름은 "핫 컨트리 송스"(Hot Country Songs)로 변경되었다.
1990년부터 순위는 각 곡이 받은 스핀에 대한 아비트론(Arbitron) 집계 청취자 수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1992년에 처음 게재된 차트에서 곡이 받은 스핀 수를 집계하도록 방법론이 변경되었지만, 2005년 1월에 방법론은 다시 청취자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변경은 2004년에 차트를 여러 번 조작했던 "레이블 후원 스핀 프로그램" 때문에 이루어졌다.[7]
2012년 10월 20일자부터 핫 컨트리 송 차트 방법론은 ''빌보드'' 핫 100과 일치하도록 변경되었다. 디지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데이터는 모든 라디오 형식의 에어플레이와 결합되어 순위를 결정한다. 컨트리 라디오 방송국의 에어플레이만을 사용하여 컨트리 에어플레이 차트가 새로 만들어졌다. 변경 이후, 탑 40 팝에서 에어플레이를 받고 있는 곡들은 컨트리 라디오에서만 인기 있는 곡들에 비해 큰 이점을 얻게 되었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그러한 곡들은 차트 정상에서 기록적인 장기 체류를 시작했다. 이 변화의 첫 번째 수혜자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였는데, 인기가 감소하고 있었지만 변화가 시행된 첫 주에 차트 1위로 급상승했고, 여성 솔로의 최장 기간 1위 기록을 세울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8] 이어서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의 "Cruise"가 나왔는데, 이 곡은 컨트리 차트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1위를 차지했다(24주).[9] 2017년 샘 헌트의 "Body Like a Back Road"(34주)에 의해 기록이 깨지기 전까지였다. 그 기록은 이후 2018년 비비 렉사와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의 "Meant to Be"(50주)에 의해 깨졌다.[1]
''빌보드''는 어떤 곡이 컨트리 차트 자격을 얻고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았으며, 단지 "몇 가지 요소가 결정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 구성"이며, 곡은 자격을 얻기 위해 "오늘날의 컨트리 음악의 충분한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고만 밝혔다. 1990-2012 차트는 특정 컨트리 방송국의 에어플레이만으로 객관적으로 측정되어 이러한 모호함이 없었다. 이후 ''빌보드''의 성명에서는 해당 "몇 가지 요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특히 곡의 음악적 구성뿐만 아니라 곡이 어떻게 마케팅 및 홍보되는지, 아티스트의 음악적 역사, 곡이 받는 에어플레이 및 곡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어떻게 플랫폼화되는지"라고 자세히 설명했다.[10] 2019년 컨트리 랩 레코드 "Old Town Road" by 릴 나스 X는 이 모호한 기준에 따라 처음 컨트리 차트에 등장하여 19위로 데뷔하고 정점을 찍은 후 ''빌보드''가 포함하는 데 실수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이후 차트에서 이 곡을 제외하면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 곡은 라디오보다는 바이럴 밈을 통해 인기를 얻었는데, 차트 집계 당시 Radio Disney Country라는 한 개의 컨트리 방송국만이 이 곡을 재생했다.[11]
3. 차트 집계 방식의 변화와 논란
1990년부터 2012년 이전까지 빌보드는 특정 컨트리 방송국의 방송 횟수만을 기준으로 핫 컨트리 송 차트 순위를 결정했기 때문에, 컨트리 음악의 정의에 대한 논란은 비교적 적었다.[10] 1990년 1월 20일, 핫 컨트리 싱글 차트는 100위에서 75위로 축소되었고, 닐슨 방송 데이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을 기반으로 집계되기 시작했다.[5]
2012년 10월 20일, 빌보드는 핫 컨트리 송 차트 집계 방식을 빌보드 핫 100과 동일하게 변경했다. 디지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데이터와 모든 라디오 형식의 에어플레이를 결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이 변화 이후 컨트리 음악의 정의와 범위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8] 특히, 탑 40 팝에서 에어플레이를 받는 곡들이 컨트리 라디오에서만 인기 있는 곡들보다 큰 이점을 얻게 되면서, 테일러 스위프트의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의 "Cruise", 샘 헌트의 "Body Like a Back Road", 비비 렉사와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의 "Meant to Be"와 같이 팝 음악 등 다른 장르의 영향을 받은 크로스오버 곡들이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며 기록적인 장기 체류를 이어갔다.[8][9][1]
2019년에는 릴 나스 X의 컨트리 랩 곡인 "Old Town Road"가 핫 컨트리 송 차트에 진입했으나, 빌보드는 "오늘날의 컨트리 음악의 충분한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는 모호한 기준을 내세워 컨트리 음악 요소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차트에서 제외하면서 논란이 일었다.[10][11]
1966년 데이비드 휴스턴의 "Almost Persuaded"가 9주 동안 1위를 차지한 이후, 2012년 차트 개편 전까지 8주 이상 차트 1위를 차지한 곡은 없었다. 2012년 이후에는 16주 이상 1위를 기록한 곡이 13곡이며, 최장 기간 1위 7곡은 모두 2012년 이후에 나왔다.
4. 2. 최다 1위 곡 보유 아티스트
조지 스트레이트는 60곡으로 가장 많은 1위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다.[46]돌리 파튼은 25곡으로 여성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은 1위 곡을 보유하고 있다.[47]
4. 3. 최다 주간 1위 아티스트
2024년 11월 2일 빌보드 차트 기준으로, 핫 컨트리 송스 차트에서 총 50주 이상 1위를 차지한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35][36][34][37][38][16][39][40][41][42][43][44][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